제사 지방 쓰는법, 쓰는이유 순서 시간 날짜 총 정리 (모르면 손해)

제사 지방 쓰는법, 쓰는이유 순서 시간 날짜 총 정리 (모르면 손해)

제사 지방 쓰는 이유 제사 지방을 쓰는 이유는 무엇일까? 원래는 제사를 모실 때 고인의 영정초상화을 두고 모셨다. 하지만 초상화는 그림이기 때문에 실제 모습과 약간 차이가 난다. 머리카락, 눈썹, 수염, 이목구비등 하나도 다르면 안되기 때문에 영정에서 지방으로 점차 변하게 되었습니다. 제사를 지낼 때 사진으로 바꾸는 사람들도 있지만 법도에 따라 지방도 같이 하는게 좋습니다.


imgCaption0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상이 다. 진설 되었으면 지방이나 신위를 열고 차례를 지내면 되겠습니다. 1. 강신 제주 가 차례상 앞에 무릎을 꿇고 향을 피우고 술잔에 술을 3번에 나누어 따라주면 술잔을 토지주잔에 3번 나누어 붓습니다. 2. 참신차례에 참석하신 모든 분들이 조사임게 두 번 절을 올립니다. 3. 헌작조상님들 신위 앞에 잔을 올리는데 제주가 혼자일 경우 혼자 하지만 여러 사람일 경우 집사가 잔에 술을 따라서주면 제주가 신위 마다.

잔을 올립니다. 4. 계반 삽시 조상님이 식사를 하시는 시간이라고 생각하세요 떡국과 전 위위에 수저를 올려놓습니다. 5. 합문 문을 닫고 조상님들이 식사를 하시도록 자리를 뜨거나 그렇지 못할 경우 무릎을 꿇고 읍을 하고 기다리는데 9숟가락의 밥을 먹을 동안 기다리는 시간입니다.

가가례로 발달한 한국의 제사 예법

제사 예법 기원은 기원 전후 1세기경에 만들어진 예기에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13세기 주자, 11301200의 가례가 유입되고 우리나라의 제사 전통은 유교식으로 정착하게 됩니다. 하지만 조선은 중국과 다르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처음부터 무리가 있었습니다. 선조들은 중국식을 조선식으로 맞추기 위해 노력한 결과 예학을 탄생시키고, 200여 종이나 되는 예서를 발간하기에 이릅니다.

그리하여 의례 해석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가가례로 발전하였습니다. 남의 제사에 밤 놔라 배 놔라 하지 마라라는 속담이 생겨날 정도가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최근에 같은 제사의 모습은 아니었습니다.

정에 따른다면 양위 합설도 가능

다른 제사와는 달리 기제사를 지낼 때는 연관된 조상만 모실까단설, , 아니면 부부를 함께 모실까합설, 도 고민입니다. 퇴계, 15011570 선생을 비롯한 선현들도 논란이 많았던 부분으로 단설이 정설입니다. 왜냐하면 기일은 조상이 죽은 날이어서 그날에 돌아가시지 않은 다른 배우자를 함께 모실 수는 없습니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제사는 간단한 추모일의 개념을 넘어서서 종교 행위로 기능하였고, 인정에 따라 합설을 하는 집안도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설날 차례 지내는 순서

설날 차례 지내는 방법은 강신, 참신, 현주, 삽시정서, 시립, 사신, 철상, 음복의 순으로 올립니다. 강신 제주가 향을 피운 다음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합니다. 신주를 모실 경우, 혹은 묘지에서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합니다. 묘지에서는 모삿 그릇 대신 땅에 뿌려도 무방합니다. 참신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합니다. 헌주는 술을 제주가 올립니다.

기제사와 달리 제주가 직접 상 위에 잔에 바로 술을 따르는 것이 보통입니다. ·삽시정서 : 떡국 혹은 송편에 수저, 시접에 젓가락을 정돈한 후 일동이 잠시동안 공손히 서 있는 ”시립”을 합니다. 다음 ”사신” 수저를 거두고 뚜껑이 있자면 덮습니다. 일동이 2번 절합니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르고 신주를 썼다면 다시 모십니다.

설날 지방 쓰는 방법

지방이란? 과거 집집마다. 모시던 조상의 위패를 현대에 와서 종이에 글을 적은 것으로 대신한 것입니다. 원래는 한자로 쓰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는 경우도 많습니다.. 지방에 글 쓰는 방법 1. 차례상에 사용할 지방은 가로 6cm세로 22cm 표준의 깔끔한 한지를 접어 붓으로 쓰는 것이 원칙 2. 글씨는 세로로 쓰고 지방 상단의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확인해야 합니다. 3. 지방의 가장 첫 글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 입니다.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으면 됩니다. (고인이 한 사람일 경우 가운데 글자를 적고, 두 사람 이상일 경우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기재합니다. ) 4. 죽은 조상이 벼슬이었다면 고인의 직위에 벼슬 이름을 쓰고, 벼슬을 지내지 않은 남자 조상은 학생, 여자 조상은 유인이라고 적는다.

자주 묻는 질문

차례 지내는 순서

차례상이 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가례로 발달한 한국의 제사

제사 예법 기원은 기원 전후 1세기경에 만들어진 예기에서부터 비롯되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정에 따른다면 양위 합설도

다른 제사와는 달리 기제사를 지낼 때는 연관된 조상만 모실까단설, , 아니면 부부를 함께 모실까합설, 도 고민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